안녕하세요!
예비 엄마, 새내기 엄마들 모두 반가워요 🥰
오늘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혜택 중 교통비 지원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해요!
임산부 교통비 지원 제도는 출산을 앞둔 여성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
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교통비를 직접 지원하거나, 교통 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예요.
2025년 기준, 임산부 교통비 지원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뉩니다👇
🚗 1.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
✅ 지원 대상
-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임산부
- 임신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서 또는 임신확인서 소지자
✅ 지원 금액
- 총 70만 원 (현금성 포인트 지급)
- 임신 중 신청 시 50만 원, 출산 후 자녀 등록 시 추가 20만 원
✅ 지원 방식
- "제로페이 모바일 포인트" 형태로 지급
- 전국 어디서나 교통(버스, 지하철, 택시 등) 및 일부 온라인·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사용 가능
✅ 사용 기한
- 출산 후 1년까지
✅ 신청 방법
- 서울시 임신·출산 정보센터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- 또는 서울시 복지포털 온라인 신청
🚅 2. KTX / SRT 임산부 할인
✅ KTX (맘편한 KTX)
- 할인율:
- 특실 좌석 → 일반실 가격에 제공, 또는
- 일반실 요금의 40% 할인
- 이용 가능 대상:
- 임산부 + 보호자 1인 포함 가능
- 이용 기간:
- 등록일부터 출산 후 1년까지
- 신청 방법:
- 코레일톡 앱 → 회원 정보에 임산부 등록
- 병원 진단서 또는 임신확인서 제출 필요
✅ SRT (맘편한 SRT)
- 할인율: 30% 할인
- 대상: 임산부 + 동반 1인
- 등록 기간: 출산 예정일로부터 1년까지
- 신청 방법:
- SRT 공식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임산부 등록
✈️ 3. 공항 패스트트랙 서비스 (우선탑승 / 빠른 출입국)
- 임산부 및 만 7세 미만 자녀 동반 시 적용
- 수하물 검사/보안 검색/탑승 대기시간 단축
- 국내외 공항 대부분에서 교통약자 우대 서비스로 제공
✈ 공항 입구에서 임산부 배지 착용하거나 증빙서류 있으면 사용 가능해요!
🚕 4. 서울 외 지역별 교통 서비스
📌 지역별로 다르므로 자세한 사항은 꼭 관할 보건소 또는 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!
📝 주의할 점
- 대부분의 혜택은 임산부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만 신청 가능
- 임신확인서 / 산모수첩 / 신분증을 준비해 주세요
- 교통비 지원은 중복 사용 불가한 경우도 있음 (예: 서울시 교통비 + 국민행복카드)
🎀 한 줄 요약
2025년 임산부 교통비 지원은 서울시 최대 70만 원 포인트 지원부터
KTX/SRT 할인, 지역 택시 바우처까지 다양해요!
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😊